최근 세계적인 거장의 미술작품이 수난을 겪고 있다는 소식 여러 차례 전해드렸죠. <br /> <br />반 고흐의 작품이 토마토 수프를 뒤집어 썼다거나, 모네의 작품엔 으깬 감자가 투척되기도 했고, 클림트의 작품에도 검은 액체가 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왜 이런 일이 벌어진 걸까요? <br /> <br />그 시작은 영국의 환경단체 '저스트 스톱 오일' 소속의 기후 활동가들입니다. <br /> <br />이 단체가 주장하는 건 화석연료 사용 중단입니다. <br /> <br />새로운 석유 가스 추출 중단과 대중교통 무료화 등을 영국 정부에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시위 초반에는 단순히 접착제를 바른 손을 액자 틀에 붙여 놓는 방식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작품을 직접 건드리진 않고, 자신들이 구호를 외치는 동안 쉽게 끌어내지 못하도록 시간을 벌기 위해서였죠. <br /> <br />하지만 점점 더 대중의 관심을 얻기 위해 충격요법을 사용하기 시작합니다. <br /> <br />전 세계가 사랑하는 거장의 예술 작품에 토마토 수프를 뿌리고 접착제로 손바닥을 벽에 붙인 뒤, 외치는 식입니다. <br /> <br />"예술을 사랑합니다. 하지만 자연을 더 사랑합니다."라고 말이죠, <br /> <br />그럼 무조건 유명한 화가의 작품이 시위 대상일까요? <br /> <br />작품을 고르는 데도 나름의 메시지를 담았습니다. <br /> <br />반 고흐의 '꽃이 핀 복숭아 나무'는 그림 속 배경이 최근 극심한 폭염으로 기근에 시달리고 있기 때문이었고, 파블로 피카소의 작품 '한국에서의 학살'은 기후 변화로 그림 속 고통이 현실이 될 수 있다는 경고였습니다. <br /> <br />'저스트 스톱 오일'을 시작으로 최근 유럽 등 각국에서는 미술관을 중심으로 기후 환경 단체들의 과격 시위가 이어지고 있는데요. <br /> <br />하지만 방식에 대한 반감도 적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인류 최고의 예술작품을 표적으로 하는 건 옳지 않다거나, 그들의 뜻은 지지하지만 예술을 괴롭히는 건 반대한다는 등의 지적입니다. <br /> <br />때문에 전문가들은 지구를 지키고 보호해야 하는 것처럼 우리 문화유산을 보호해야 한다며 단순히 관심을 끄는 홍보 수단을 넘어 실질적으로 무엇을 변화시킬 수 있을지 다음 단계를 고민해야 할 때라고 조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111814320882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